LH에서 공공전세주택 579호를 2022년 상반기에 모집한다고 합니다. 다양한 서민정책 중에 하나로써 국민들의 주거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입니다. 이러한 제도도 관심을 가지고 보면 의외로 좋은 결과를 가져다줄 수 있습니다.
LH 공공전세주택이란?
현재 발생하고 있는 전세시장의 수급 불균형을 줄이고자 국가차원에서 전세주택을 공급하는 제도입니다. 민간에서 전세 물량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20년 11월에 '서민, 중산층 주거안정 지원방안'의 일환으로 신규 도입되었습니다.
공공전세주택은 무주택자이면 누구나 입주가 가능하고, 최대 6년까지 거주기간을 보장되기 때문에 주거안정성 확보에 유리합니다. 또한 시중 전세 보증금의 80~90% 수준으로 공급한다고 하며 2022년까지 총 1.8만호를 공급한다고 홍보하고 있습니다.
공공전세주택은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여 고품질 자재 및 인테리어 적용, 빌트인 옵션, 주차편의 시설 확충, 커뮤니티 시설 등을 통해 분양주택 수준의 주거품질을 확보하겠다고 합니다.
2021년에는 3회 모집(4월, 9월, 12월)하여 평균 23:1의 매우 높은 경쟁률을 보였습니다. 이번에는 기회가 되는 분들은 무조건 지원해보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LH 공공전세주택 공급 대상
금번 공급호수는 579호로 수도권에서 491호, 지방권에서 88호 공급 됩니다. 전용면적과 발코니 확장면적을 포함한 '실사용 면적'은 56~116㎡이며 보증금은 면적에 따라 1억 2천에서 4억 3천만원 수준입니다.
<표. 시도별 공급호수>
구분 | 지역 | 공급호수 | 합계 |
수도권
|
서울 | 108 |
491
|
인천 | 53 | ||
경기 | 330 | ||
지방권
|
부산 | 25 |
88
|
대구 | 49 | ||
광주 | 2 | ||
대전 | 1 | ||
충남 | 1 | ||
전북 | 10 |
LH 공공전세주택 신청자격
모집공고일 (4.28)기준으로 무주택세대 구성원이어야 합니다. 또한 주민등록표 등본상에 명시된 거주지를 기반으로 모집 권역*에 한해 신청할 수 있고 1세대당 1 주택만 신청가능 합니다. 가구원수가 3인 이상인 경우 1순위, 2인 이하인 경우 2순위 자격으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모집권역: (1) 서울, 인천, 경기, (2) 대전, 세종, 충남, 충북, (3) 광주, 전남, 제주, (4) 전북, (5) 대구, 경북, (6) 부산, 울산, 경남, (7) 강원
LH 공공전세주택 제도가 좋은 이유는 별도의 소득, 자산 기준이 없어 중산층까지 다양하게 신청이 가능하다는 것이고 이를 통해 안정적인 주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소득, 자산기준이 있어 신청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LH 공공전세주택은 이러한 부분에서 상당히 강점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LH 공공전세주택 공급 일정
LH청약센터(apply.lh.or.kr)를 통해 5월 9일부터 온라인 신청 및 우편접수가 가능합니다. 코로나로 인해 방문신청은 제한된다고 하니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당첨자 발표는 22년 6월이며, 7월부터 계약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표. 지역본부별 공급호수 및 일정>
본부 | 공급호수 | 신청접수일 | 마감일 | 결과발표 | 입주시기 |
서울 | 114 | 2022-05-09 | 2022-05-11 | 2022-06-22 |
7월 이후
|
인천 | 101 | 2022-05-09 | 2022-05-11 | 2022-06-22 | |
경기 | 276 | 2022-05-09 | 2022-05-11 | 2022-06-22 | |
부산울산 | 25 | 2022-05-16 | 2022-05-18 | 2022-06-30 | |
대전충남 | 2 | 2022-05-09 | 2022-05-11 | 2022-06-09 | |
전북 | 10 | 2022-05-16 | 2022-05-18 | 2022-07-06 | |
광주전남 | 2 | 2022-05-16 | 2022-05-19 | 2022-07-11 | |
대구경북 | 49 | 2022-05-11 | 2022-05-13 | 2022-07-13 | |
합계 | 579 | - |
공공전세주택 공급 대상 목록 확인
LH 청약센터에 들어가면 22년 1차 공공전세 공급 주택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급되는 주택의 유형, 주소, 면적, 임대 가격 등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들어가 보시고 관심 있는 지역이 있다면 눈여겨보다가 신청해보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서울의 경우 임대 보증금이 지역, 면적, 유형에 따라 1억 7천에서 4억 3천만원까지 다양하게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림. 공공전세 공급대상주택 목록>
공공전세주택 입주자모집 관련 Q&A
신청자격 관련하여 앞서 설명하지 않은 내용 중에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을 요약해보았습니다.
<입주자 모집 관련 주요 Q&A>
구분 | 질문 | 답변 |
신청자격
관련 |
기존 공공임대주택에 살고있더라도 신청 가능한지? | 신청 가능함 |
예비자로 선정 시 입주 가능여부? |
당첨자가 계약체결을 포기할 경우 예비자 순번에 따라 계약체결
|
|
임대기간
|
계약 횟수는 총 몇번 가능한지? |
임대기간 2년, 2회 재계약 가능 (최대 6년 거주)
|
재계약 자격은? | 무주택 유지 | |
입주 후 분양권 취득 시 어떻게 되는지? |
계약기간 내 해당 분양권 입주예정일까지 거주 가능
|
이외에도 입주자 모집공고문이 올라와 있으니 꼼꼼히 참고하시어 좋은 결과 있으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부동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도권 철도 건설 발표 (신분당선 연장, GTX 사업) (0) | 2022.05.18 |
---|---|
분양가 상한제에 적용되는 기본형건축비의 합리성 분석 및 시사점 (0) | 2022.05.09 |
GTX E, F 노선의 타당성 분석 및 의견 (0) | 2022.04.27 |
[리모델링] 분담금 산정 방법(사업성 분석) (0) | 2022.04.14 |
[리모델링] 추진위원회와 조합 구성 (0) | 2022.04.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