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관련

GTX-A 노선(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by 달빛 정원 2022. 2. 28.
반응형

GTX가 정치적(대선 등), 사회적, 경제적 이슈의 중심에 있다. GTX는 지하 40M 아래 터널을 뚫어 노선을 직선화하고 평균시속 100KM로 기존 전철보다 3~4배 빠르게 운행이 가능하다. 이에 GTX가 개통되면 경기도 외곽지역에서 서울 중심부까지 20~30분이내 도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GTX가 들어서는 지역에 엄청난 파급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GTX는 현재 4개의 노선 추진과 20대 대선후보들 공약에 따르면 향후 E,F노선을 추가로 추진 하는 등의 변화도 있을 전망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가장 빠른 노선인 GTX-A노선에 대해 분석하였다.

 


GTX-A노선에 대한 분석 및 향후 계획

GTX-A노선은 파주 운정신도시(운정역)에서부터 화성시 동탄신도시(동탄역)까지 계획되어 있는 노선이다. 남북을 가르는 철도노선으로 현재 제안된 다른 노선들 중 가장 경제성이 높고 사업추진이 빨라 이르면 '24년 중으로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GTX-A는 수서평택고속선 사업과 연계하여 진행중이다. (수서~동탄역 구간은 SRT와 GTX가 같은 노선 사용)

당초에는 GTX A,B,C 모두 같이 착공하고자 하였으나 B, C 노선의 타당성이 떨어져 A 부터 진행되었다고 한다. 이후 B,C는 민자사업으로 진행중이며 '22년 2월 현재까지 착공을 하지 못하였다. 

GTX 노선도 (출처:  민상식. 2021. “갈길 먼 GTX…A노선 ‘연기’, C는 6년후, B·D는 기약 없어[부동산360].” 헤럴드경제. Accessed February 28, 2022.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210722000161.)


GTX-A 노선 주요 이슈

GTX 모든 노선이 지나가는 지역에서 추가역 신설을 요구하고 있다. GTX-A의 경우 고양 창릉지구를 통과하고 있어 역 신설요구가 있었고 창릉역 신설이 확정되었으나 정확한 위치는 결정되지 않았다. 다만 창릉신도시에 GTX 역이 신설된다는 그 자체만으로 부동산 가격이 폭등했다(출처:“‘집값상승 급행열차’ GTX…창릉역 신설, 단숨에 11억 돌파.” n.d. Accessed February 28, 2022. https://www.inews24.com/view/1332971.)

이 외에도 광화문역, 시청역 통합역사 추가 논의가 이루어 지고 있으며, 공사비, 표정속도 유지 등의 이슈로 인해 확정될지는 미지수 이다. 


 

GTX-A 노선 문제점

GTX가 지나는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통과 반대운동이 벌어지고 있다고 한다. 즉 해당 지역 발전소 등으로 인해 안전성에 위험이 있어 환경영향평가를 다시 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으며, 땅 밑 깊이 터널을 파서 진행된다 하더라도 아파트 밑을 통과하기 때문에 재산권 침해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또한 당초 운행요금을 기본 10Km 2,419원 및 초과 5Km 당 216원으로 산정했지만, 협약체결시 2,592원으로 올렸다고 한다(출처: 박일한. 2018. “1조 조기투입…GTX-A 이르면 연내착공.” 헤럴드경제. Accessed February 28, 2022.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81211000441). 이로 인해 요금이 비싸져 타당성조사에서 나타난 수요보다 더 낮을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과도한 수요예측으로 인해 적자가 우려되고 이를 갚기 위해 국민의 세금이 무의미하게 낭비될 수 있다는 것이다. 경제적 타당성이 낮아진다면 GTX 건설 및 운영의 의미도 다소 약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마무리

GTX-A 노선은 여타 다른 노선들보다 경제성이 가장 우수하고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추후 다른 노선들의 선례로 남을 가능성이 높다. 즉 GTX-A에서 발생한 문제, 해결방안 등이 향후 진행되는 사업들에 영향을 크게 미칠 수 있다는 것이고 현재 드러난 문제들을 잘 극복해야 정부가 추진하는 앞으로 있을 광역철도노선들이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