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80+ 부동산 정책 성과 (2022.1 기준)
앞서 설명한 3080+ 부동산 정책(2021.2 시행)과 관련하여 국토부에서 그간의 성과를 발표하였다. 국토부에 따르면 17만호 (일산, 분당을 합친 수준)의 도심 후보지를 발굴하고, 1만여 호를 지구지정 하였다고 한다. 이는 당초 목표물량의 60% 수준이라고 하며 도심복합사업의 경우 서울지역에 다수 분포한다고 하여 기대감이 높아진 상황이다(55.6%)
주요 사업유형 및 결과
이 사업은 세부적으로 4가지로 구분되는데 도심복합사업 19만호, 공공정비 13만호, 소규모 정비 및 도시재생 14만호, 공공택지 36만호로 계획되어 있다. 이것이 시행되고 난 후 꽤 많은 입주민들의 관심을 끌었던 것으로 보이며 '25년까지 목표물량의 60%를 1년이 지난 지금 시점에 달성하였다고 한다. 그 중에 도심 후보지(도심복합, 공공정비, 소규모정비)는 총 17만호로 일산, 분당을 합친 수준이라고 한다. 특히 도심복합사업은 목표물량의 50%(10만호 이상)를 확보하였고 그중에서 55%가량이 서울지역에 분포한다고 한다.
도심복합사업
현재까지 목표치의 절반 이상인 76곳 10만호 규모의 후보지를 확보하였다고 한다. 이 중에서 7곳 1만호는 후보지 발굴 9개월만에 지구지정을 완료하였다고 한다. 지구지정이 완료된 사업을 중심으로 사전청약도 진행할 예정(4천호 규모)이라고 하니 서울에서 청약을 기다리는 많은 시민들에게 호재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증산 4구역, 방학역, 연신내역, 신길 2구역은 좋은 입지의 개발사업이므로 모니터링하고 있으면 좋은 기회가 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도심복합사업 주민동의 2/3이상 구역을 제시하는 등 향후 개발될 지역도 볼 수 있는데 역세권 9구역(
연신내역 인근, 쌍문역 동측, 방학역 인근, 쌍문역 서측, 녹번역 인근, 용마산역 인근, 제물포역 인근, 중동역 서측, 사가정역)을 관심지역으로 두고 변화를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다.
공공정비사업
해당 사업은 그간 사업성 부족, 복잡한 이해관계로 민간에서는 추진하기 어려운 지역의 주거환경을 개선할 수 있고 도심 내 신속한 주택공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공공 재개발은 현재 35곳 3.7만호를 선정하였고 7곳은 공공시행자 지정까지 완료한 상태이다.
공공재개발은 8곳 중 5곳은 주민동의 2/3를 확보하였으며 신규 사업구역 21곳 중 15곳은 예비공공시행자와 양해각서를 체결한 상태이다.
공공재건축은 4곳 후보지 중 2곳(망우1, 강변강서)의 공공시행자 지정을 완료하였으며 남은 2곳(신길13, 중곡A)도 22년 1분기 내 공공시행자를 지정할 예정이라고 한다.
공공 택지, 사전청약
2.4대책으로 인해 신규 공공택지는 27.2만호가 공급될 예정이며 광명, 화성, 의왕 등 수도권에 8곳 19만호, 지방권에 7곳 6.9만호가 예정되어 있다. (기존 25.9만호 + 세종시 용적률 상향 1.3만호)
사전청약의 경우에도 많은 계획물량들이 있다. 작년 3.8만호를 공급하였으며 금년에 7만호를 공급할 예정이다. (공공 3.2만호, 민간 3.8만호) 3기 신도시 및 수도권 등에 입지에 매분기 1만호 이상을 연속적으로 공급한다고 하니 기대해 볼만 하겠다.
마무리
공공이 주도하는 3080+ 부동산 개발 정책이 수치로만 봤을 때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듯 하다. 국토부에 따르면 공급시차를 획기적으로 단축하여 시장불안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한다. 그 결과 주택시장가격의 하향 안정세를 보일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수요와 공급의 원칙에 따라 수요가 일정하다는 가정하에 공급이 많아지면 가격은 낮아진다. 다만 해당사업이 실제로 착공하고 입주가 시작되는 시점까지 가려면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일부 후보지에서는 철회를 요청하고 있고 주민동의 요건을 확보하는 것도 쉽지 않을 전망이라고 한다(출처: “3080+ 공급대책 발표 1년 성적표 | 후보지 많다지만 ‘산 넘어 산’ 증산4·연신내 등 철회 요구도.” 2022. 위클리한국주택경제신문. Accessed February 22, 2022. http://www.ar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7489.). 실제로 지구지정이 되는 경우는 아직까지 1만호 정도 수준인 것을 보면 공공 주도형 정비사업이라할지라도 진행이 쉽지는 않다는 생각이다.
공동주택 정비사업의 경우 이러한 입주민들간의 갈등과 대립을 풀어나가는게 제일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부동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GTX-A 노선(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0) | 2022.02.28 |
---|---|
GTX 추진현황 및 계획('22년 2월 24일 기준) (0) | 2022.02.27 |
무순위 청약 개념과 사례 (줍줍을 노린다면..) (0) | 2022.02.25 |
통합공공임대주택의 정의 및 공급일정 (0) | 2022.02.23 |
부린이들을 위한 3080+ 대책 개념 파악하기 (0) | 2022.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