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관련

실적발표와 컨센서스란 무엇인가

by 달빛 정원 2022. 2. 18.
반응형

기업분석을 할때 마주치는 단어 중 하나가 컨센서스이다. 컨센서스란 시장에서 판단하는 예상실적이라고 볼 수 있겠다. 컨센서스 보다 실적이 좋은지 나쁜지에 따라 주가 변동성이 매우 커지므로 투자하고 있는 기업의 컨센서스를 항상 모니터링 해야 한다. 

 


실적발표와 컨센서스 

기업분석은 기업 실적을 분석하는 것으로써 해당 주식을 살지 말지 결정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거치는 과정이다. 즉 실적이란 기업의 성적표이며 이 성적표가 잘 나오면 주식의 매력도가 올라간다고 볼 수 있겠다. 기업의 실적발표는 1년에 4번 있는데 다음과 같다.
 - 1분기 (분기보고서) 4.1~5.15사이에 발표
 - 2분기 (반기보고서) 7.1~8.15사이에 발표
 - 3분기 (분기보고서) 10.1~11.15 사이에 발표
 - 4분기 (사업보고서) 1.1~3.31 사이에 발표 (염승환. 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질문 TOP 77 참조)
 
 
실적 발표할때 흔히 YoY (year on year, 전년 동기 대비), QoQ (Quater on Quater, 전 분기대비)로 기업 이익이 얼마나 증가하고 감소했다고 말한다.
 
기업의 실적발표와 더불어서 등장하는 개념이 컨센서스이다. 컨센서스란 시장에서 판단하는 예상실적치이다. 애널리스트들이 산정하는데 애널리스트들중 가장 높은 것과 가장 낮은 것을 뺀 후에 평균을 내어 산정한다. 
 
컨센서스는 시장에서 기대하는 수치이기 때문에 그 이상이 나왔을 경우 해당 주식이 싸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주가가 오를 가능성이 높다. 

 

실적발표와 컨센서스 보기

현재 다양한 사이트 들이 있지만 그중에 하나를 꼽자면 에프엔가이드라는 홈페이지에서 실적발표자료, 컨센서스 확인이 가능하다. (https://comp.fnguide.com/)

맨 처음 들어가면 삼성전자가 나오는데 종목명, 종목코드를 입력하면 본인이 원하는 기업의 정보를 볼 수 있다.아래 사진을 보면 기업개요, 재무제표 등 다양한 탭이 있고 이중에서 컨센서스를 확인하는 탭이 있다.

Fn가이드 화면(https://comp.fnguide.com/)

이것을 클릭하면 컨센서스 추이, 향후 3년의 컨센서스 추정치를 확인해볼 수 있다.

분기별로도 확인이 가능하고, 잠정 실적치(Provisional)은 (P)라고 옆에 표시하고, 추정치는 (E)라고 옆에 표시한다 (Estimate를 의미함)

 

해당기업은 영업이익, 순이익도 증가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컨센서스도 우상향 한다고 판단하는 것 같다.

해당 페이지를 내리다 보면 밑에는 증권사별로 작성한 리포트에 대한 요약과 목표주가를 볼 수 도 있으니 투자시 참고할 수 있겠다. 

이와 같은 컨센서스는 비록 추정치이기는 하나 시장의 기대치이기 때문에 주가 변동성의 원인이 된다.

기업이 발표한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보다 좋으면 어닝서프라이즈(earning surprise), 나쁘면 어닝쇼크(earning shock)라고 하면 며 컨센서스와 실적치가 차이가 많이 날수록 변동성도 커지게 된다.

 

 

컨센서스를 기준으로 투자하고자 할 때...

실적은 기업의 성적표와 같기 때문에 매 분기별로 발표되는 실적을 기반으로 투자 포인트를 잡을 수도 있을 것이다.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를 10% 이상 상회하는 것을 어닝서프라이즈라고 한다.(염승환. 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질문 TOP 77 참조). 즉 관심기업의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를 10% 상회하거나 상화할 것으로 예상될 때 투자를 결정해보는 것도 유의미 할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