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분석을 할때 마주치는 단어 중 하나가 컨센서스이다. 컨센서스란 시장에서 판단하는 예상실적이라고 볼 수 있겠다. 컨센서스 보다 실적이 좋은지 나쁜지에 따라 주가 변동성이 매우 커지므로 투자하고 있는 기업의 컨센서스를 항상 모니터링 해야 한다.
실적발표와 컨센서스
실적발표와 컨센서스 보기
현재 다양한 사이트 들이 있지만 그중에 하나를 꼽자면 에프엔가이드라는 홈페이지에서 실적발표자료, 컨센서스 확인이 가능하다. (https://comp.fnguide.com/)
맨 처음 들어가면 삼성전자가 나오는데 종목명, 종목코드를 입력하면 본인이 원하는 기업의 정보를 볼 수 있다.아래 사진을 보면 기업개요, 재무제표 등 다양한 탭이 있고 이중에서 컨센서스를 확인하는 탭이 있다.
이것을 클릭하면 컨센서스 추이, 향후 3년의 컨센서스 추정치를 확인해볼 수 있다.
분기별로도 확인이 가능하고, 잠정 실적치(Provisional)은 (P)라고 옆에 표시하고, 추정치는 (E)라고 옆에 표시한다 (Estimate를 의미함)
해당기업은 영업이익, 순이익도 증가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컨센서스도 우상향 한다고 판단하는 것 같다.
해당 페이지를 내리다 보면 밑에는 증권사별로 작성한 리포트에 대한 요약과 목표주가를 볼 수 도 있으니 투자시 참고할 수 있겠다.
이와 같은 컨센서스는 비록 추정치이기는 하나 시장의 기대치이기 때문에 주가 변동성의 원인이 된다.
기업이 발표한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보다 좋으면 어닝서프라이즈(earning surprise), 나쁘면 어닝쇼크(earning shock)라고 하면 며 컨센서스와 실적치가 차이가 많이 날수록 변동성도 커지게 된다.
컨센서스를 기준으로 투자하고자 할 때...
실적은 기업의 성적표와 같기 때문에 매 분기별로 발표되는 실적을 기반으로 투자 포인트를 잡을 수도 있을 것이다.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를 10% 이상 상회하는 것을 어닝서프라이즈라고 한다.(염승환. 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질문 TOP 77 참조). 즉 관심기업의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를 10% 상회하거나 상화할 것으로 예상될 때 투자를 결정해보는 것도 유의미 할 것이다.
'주식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물(Futures)의 개념과 의미 (0) | 2022.03.26 |
---|---|
IPO(Initial Public Offering) 이란 무엇인가? (0) | 2022.03.26 |
주식으로 수익을 내는 법(S-RIM study) (0) | 2022.02.20 |
ROA, ROE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0) | 2022.02.17 |
PER, PBR, PSR에 관하여 (0) | 2022.02.16 |
댓글